Computer Science/Openstack

    2023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소개 및 후기 (feat. Openstack)

    들어가며 올해 입사한 회사에서 오픈스택을 다루게 되었다. 이왕 시작한 김에 오픈스택에 대한 기술을 좀 더 알고 싶었고 활용하는 것을 넘어 내가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버그를 수정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검색을 이어가던 도중 컨트리뷰션 아카데미에서 오픈스택 팀이 참가하고 있었다. 이번 기회에 오픈스택 Upstream에 기여하고 오픈스택이라는 기술을 잘 알게 될 것이라 생각해 지원해 보았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컨트리뷰션 아카데미는 오픈소스에 기여할 수 있도록 멘토, 멘티가 힘을 합쳐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경험을 해보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코드 기여뿐만 아니라, 문서 번역, 기능 제안, 이슈 리포팅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오픈소스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몇 년 전 오픈소스 컨트리..

    [OpenStack] Openstack의 기본개념

    들어가며 AWS, Azure, GCP 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만일, 어떤 기업이 앞서 언급한 퍼블릭 클라우드 3사의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리소스를 활용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만드려고 한다면 어떤 기술을 사용해야할까? Openstack이 이같은 질문에 대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퍼블릭 클라우드 3사는 클라우드를 위한 자체적인 기술스택을 가지고 있다.) 오픈스택은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구축/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스택의 간단한 개념과 아키택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Openstack의 이해 역사 오픈스택 프로젝트의 시작은 NASA에서 부터 시작된다. 2010년 7월 당시 랙스페이스(Rackspace)라는 웹 호스팅 기업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