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포스팅은 코드트리 x 글또 블로그 챌린지 2기를 통해 코드트리 체험권을 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들어가며
이전 포스팅 이후 한달 간 코드트리를 더 사용해보고 적는 후기입니다. 베리타시움의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차이에 대해 분석한 영상을 가져왔는데 영상을 보고 후기를 보신다면 좀 더 와닿을 겁니다.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 데릭은 전문가와 비전문가, 그리고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분석합니다. 코드트리 후기에 갑자기 전문가에 대한 이야기가 왜 나오냐 싶겠지만, 잠깐 참아주시고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영상에선 특정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아래 4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한다고 합니다.

각 조건들을 하나씩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타당한 환경이 갖춰져 있는가?
타당한 환경이란 어느정도 예측 가능한 규칙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입니다. 룰렛, 정치, 경제 등 무작위성이 두드러지거나 너무 변수가 많아 예측이 불가능한 영역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과 실전 경험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전문가가 되기는 힘듭니다. 예측가능한 패턴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많은 반복이 가능한가?
영상에서는 많은 전문가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주요한 사건들에 대해 예측합니다. 예를 들면 어떤 전문가들이 선거 결과, 국가간 외교, 경제 전망에 대해 예측하지만 그 결과는 비전문가의 무작위 예측보다 잘 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의 전문성이 발휘되지 못한 이유는 위같은 영역들이 통제된 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패턴을 학습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가?
당연하지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피드백 중 에서도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마취과의사는 환자 옆에서 활력징후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피드백 받을 수 있지만, 방사선전문의는 진단이후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진단하기 힘듭니다. 입학사정관과 채용담당자도 합격시킨 사람이 좋은 성적, 실적을 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없습니다. 피드백이 지연될 수록 패턴을 파악하기 힘들어지고 전문가가 되기 힘들어집니다.
주도적으로 연습이 가능한가?
운전은 처음에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운전을 계속하다보면 우리느 어느정도 운전을 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무리 많은 시간동안 운전한다고 해도, 레이서 만큼 운전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될 수는 없습니다. 레이서들은 빠른속도로, 어려운 트랙에서, 경쟁자들까지 있는 그야말로 혹독한 환경에서 운전하게 됩니다. 이처럼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내가 편안한 영역에서 벗어나 불편한 영역에서의 주도적인 연습이 필요합니다.
코드트리의 경우에는?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코드트리를 통해 코테 전문가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타당한 환경인가?
코딩테스트는 충분히 예측가능하고 패턴을 학습시킬 수 있는 분야입니다. 특히나 기업코테의 경우 문제가 출제되는 영역이 어느정도 정해져 있어서 패턴을 파악하기가 더 용이합니다. 코드트리에는 이러한 유형을 수준별로 묶어서 단계적으로 패턴을 파악할 수 있게합니다.
2. 많은 반복이 가능한가?
코딩테스트는 많은 반복이 가능한 분야입니다. 문제 유형도 다양하고, 특정 유형에 대한 많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다른 문제풀이 플랫폼도 동일하지만, 코드트리에서도 많은 문제와 유형을 반복적으로 학습이 가능합니다.
3.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가?
알고리즘 문제풀이에서 받을 수 있는 피드백은 정답여부 그리고 풀이에 대한 피드백이라고 생각합니다. 코드트리는 모든 문제들에 대해 해설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문제 풀이 이후 토론 탭에서는 풀이에 대한 의견을 질의응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모든 피드백이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성격의 것입니다.
4. 주도적으로 연습이 가능한가?
코드트리에서는 실력진단, Gap Check 와 같은 피드백 기능을 통해 현재 실력을 파악하고 취약한 유형(불편한 영역)을 파악하고 추천문제들을 학습할 수 있게 합니다.
위 처럼 코드트리는 전문가가 되기위한 4가지 조건을 모두 제공합니다. 여기에 개인의 노력이 추가된다면, 코딩테스트 실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마치며
2달간 코테 준비를 위해 코드트리를 체험해봤지만, 이번 체험 기간이 끝나더라도 코드트리를 사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코딩테스트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피드백을 받아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기 때문입니다. 코딩테스트에 전문가까지는 되고싶지 않지만... 합격은 하고싶으니까요! 😄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기] 코드트리와 함께라면 (0) | 2025.02.01 |
---|---|
[회고] 2024년 회고 (2) | 2024.12.22 |
[후기] 글또 9기를 되돌아보며... (2) | 2024.05.12 |
[후기] 글또 8기를 마무리하며 (0) | 2023.07.16 |
[회고] 2023 상반기 인턴 경험 (0) | 2023.05.12 |